일본에서의 유학생활은 생각보다 바쁜 생활의 연속이었습니다. 학업과 아르바이트, 친구들과의 약속까지 매일매일이 빠듯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교통비 절약과 시간 단축을 위해 자전거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알다시피 일본의 자전거 인프라는 정말 훌륭했습니다. 도로 옆 자전거 전용도로, 편의점 앞 자전거 주차장, 심지어는 지하 자전거 보관소까지. 게다가 일본 사람들도 대부분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유치원 아이부터 정장을 입은 회사원, 아이를 등하원 시키는 엄마들은 자전거가 필수였습니다. 저도 어렵게 배운 자전거이니만큼 그 흐름에 당당히 편승해, 어디든 자전거를 타고 달렸습니다.
자전거가 사라지다
자전거를 산 날, 가게 주인아저씨는 자전거 등록을 하라는 아주 중요한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자동차도 아닌 자전거를 등록이라니? 알고 보니 일본에서는 모든 자전거에 고유의 등록번호를 부여하는 제도가 있었고, 이는 경찰이 도난 자전거를 찾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등록비는 500엔. 제 자전거도 바로 등록을 마치고, 안심하며 타고 다녔습니다. 언제나처럼 아침에 학교를 가려고 나서는데 자전거를 세워둔 자리가 뭔가 허전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처음엔 제 착각인가 싶어 주변을 몇 바퀴 돌았지만, 제 자전거는 온데간데없었습니다. 도둑맞았다는 생각에 순간 머릿속이 멍했습니다. 잠시 후 저는 바로 근처의 고방(交番, 파출소)으로 달려갔고, 경찰 아저씨는 아주 침착한 표정으로 응대해 주었습니다. 그 순간, 방범등록이 얼마나 중요한 제도였는지 실감했습니다. 등록증을 보여주자 곧바로 시스템에 입력했고, 저는 분실 신고서를 작성했습니다. 그 후 경찰은 곧 찾을 수 있을 거라며 저를 안심시켜 줬지만… 마음은 여전히 허전했습니다. 몇일의 시간이 흘러 포기하고 잊을 만할 때쯤, 자전거를 찾았다는 전화 한 통이 걸려왔습니다. 경찰서에 가서 확인해 보니, 바구니에 이상한 스티커가 붙어 있고 안장은 약간 낡아 있었지만 확실히 제 자전거였습니다. 도둑은 열쇠를 부러뜨린 후 아무렇지 않게 타고 다닌 모양이었습니다. 경찰은 보통 술에 취한 사람들이 잠시 타다가 버리고 가는 경우가 많다고 했습니다. 자전거를 잃어버리고 다시 찾은 날, 그날 이후 저는 이중 자물쇠는 기본, 사슬형 자물쇠까지 장착하며 철통 보안을 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자전거 이용자 수가 워낙 많다 보니, 도난 건수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아파트 근처, 역 주변, 공원 등은 도둑들이 자주 노리는 장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자물쇠 하나 걸어두는 걸로는 부족하다고 하더군요. 설마 하고 방심하는 순간 아끼던 자전거는 사라집니다. 그래도 일본의 방범등록 시스템 덕분에, 제 자전거는 다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이후 친구들에게도 반드시 등록을 하라고 주장하는 자전거 보안 전도사가 되었습니다. 아무리 치안이 좋다고 해도 사소한 좀도둑은 어디나 존재함을 인지한 경험이었습니다.
마무리하며
그날 이후 나는 자전거를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닌, 일본 생활 속의 신뢰와 시스템, 그리고 그 틈새를 상징하는 존재로 기억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분명히 치안이 좋은 나라로, 분실물도 잘 돌아오고, 길거리 가판대에 놓인 물건도 손대지 않는 문화가 있다는 걸 나도 수없이 경험해 왔습니다. 하지만 그런 일본에서도 자전거 도난은 빈번하게 일어나며, 특히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는 불쾌하고 당황스러운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자전거 등록 제도인 자전거방범등록은 분명히 잘 마련된 시스템이었습니다. 경찰은 등록된 자전거를 조회해 도난 여부를 빠르게 확인해 줄 수 있었고, 실제로 그 시스템을 통해 수개월 뒤 되찾았다는 친구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언제나 시스템만으로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았고, 등록이 되어 있어도 도난 당시의 대응이 느리거나 주변의 무관심 속에 사건은 흐지부지 끝나기 일쑤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경험을 통해 자전거에 이중 자물쇠를 걸었고, 눈에 잘 띄는 곳에 자전거를 주차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 도난 사건은 일본에서의 생활이 단지 평화롭고 친절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걸 알려준 작은 계기였습니다. 사소한 자전거 하나 잃어버린 경험이었지만, 거기서 배운 건 많았습니다. 일본의 제도, 사람들의 대응 방식, 그리고 예상외의 도난 현실까지. 그리고 무엇보다도, 익숙해질수록 느슨해지기 쉬운 생활 속에서 경계심을 갖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달은 사건이었습니다.